금융, 투자, 펀드 관련주 : NH투자증권 주가 및 배당금 알아보기
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

금융, 투자, 펀드 관련주 : NH투자증권 주가 및 배당금 알아보기

by 까만언니 2023. 2. 14.
반응형

# 금융, 투자, 펀드 관련주: NH투자증권 기업 분석

 

배당금 많이 주기로 유명한 NH투자증권에 대해 분석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주린이 분들도 쉽고 간단하게 종목 분석 마무리 할 수 있게 설명 드리겠습니다.

 

금융,투자,펀드 관련주 NH투자증권 주가 및 배당금

 

NH투자증권은 2014년 12월 우리 투자증권과 NH농협증권의 합병으로 탄생한 증권사로 투자매매, 투자중개, 집합투자, 신탁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IB 부문의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금융지주 내 타 계열사와의 시너지를 활용할 수 있다는 강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 펀드 직접 수탁 업무 수행을 준비 중임. PBS 직접수탁을 시작으로 사모펀드 종합서비스 플랫폼으로서의 역량을 지속 강화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100% 농협은 아니지만, 농협의 성격을 많이 띠고 있고, 농협금융지주가 약 56%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어렵게 생각하지 마시고 쉽고 간단하게 농협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 시가총액 : 3조 1,873억 원

* 시가총액순위 : 코스피 98위

 

* 2020년 NH투자증권 주당 배당금 : 700원

* 2021년 NH투자증권 주당 배당금 : 1,050원

* 2022년 NH투자증권 주당 배당금 : 461원 (예상)

 

* 최근 1년 최고점 : 2022년 2월 17일 : 11,950원

* 최근 1년 최저점 : 2023년 1월 3일 : 8,250원

* 현재 주가 : 2023년 02월 14일 : 9,610원 

 

 

# 주린이도 알기 쉬운 NH투자증권 재무제표 살펴보기.

 

금융,투자,펀드 관련주 NH투자증권 재무제표

 

간단하게 보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위의 재무제표와 같이 비교하면서 봐주세요)

전체적인 마이너스(빨간색이 있는지 없는지)를 한번 봐주세요.

NH투자증권의 재무제표에는 마이너스 부분이 현재 없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매출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 부채비율 -> 유보율 -> PBR(배)

이 순서대로 볼 예정입니다.

 

* 매출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 매년마다 잘 증가하고 있는지??

* 부채비율 = 부채는 작을수록 좋습니다.

  (누구든 빚은 없으면 좋으니깐요. 보통은 500%를 기준을 플러스와 마이너스 사이이면, 합격이라고 합니다.)

* 유보율 = 현금의 흐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현금을 얼마만큼 보유하고 있는가? (많을수록 좋겠죠?)

* PBR = 주가 1주당 매매단가가 순자산의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가? 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즉, 1보다 낮으면 저평가로 보고, 1보다 높으면 고평가로 보고 있다는 뜻입니다.

 

이제 NH투자증권의 재무제표를 보시면 어떤가요? 투자해도 될만한 기업인지 판단이 되실까요?
제가 봤을 때는 쉽게 없어지거나 망할 기업은 아니니 투자해도 문제없을 거 같습니다.

 

 

 

 

# NH투자증권 주식 그래프 보고 매수, 매도 타이밍 알아보기.

 

 

마지막으로 NH투자증권의 주식차트 (그래프)를 보고 설명드리겠습니다.

2021년까지 상승세를 타다가 2022년 전반적인 하락세를 띄고 있습니다.

그리고 올해 초 23년 1월 저점 8,250원을 찍고 다시 올라가는 그래프를 형성하고 있지만, 아직 상승세라고 하기엔 좀 더 지켜봐야 될 거 같습니다. 이제 박스권을 어느 정도 형성하고 상승세를 탈지, 아니면 바로 상승 곡선을 만들어 갈지는 아무도 모르기 때문입니다.  저점 8,250원에서 지금 9,610원이니 하락권에 가깝다고 할 수는 있겠습니다.

 

NH투자증권은 배당률이 좋아서 배당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종목이기도 합니다.
지금이 하락 저점을 찍고 올라서는 계기가 될 수 있으니 분할 매수 후 지켜보면서 소량 진입도 좋아 보이는 자리입니다.

물론 저의 개인적인 생각이며, 저도 분할 매수로 지켜보고 있는 상황입니다.

 

 

반응형

댓글